카테고리 없음

청년도약계좌 해지하고 청년내일저축계좌로 갈아탈 수 있을까? 조건과 혜택 총정리!

grapher 2025. 5. 9. 10:42

안녕하세요! 청년도약계좌 → 청년내일저축계좌 변경 관련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
청년을 위한 다양한 정부 지원 저축상품 중, 청년도약계좌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는 제도입니다.

최근 3개월 정도 청년도약계좌에 저축해왔는데, 청년내일저축계좌의 혜택이 더 커 보인다면, 중도 해지하고 변경이 가능한지 궁금하실 수 있습니다.

오늘은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변과 함께, 두 제도의 차이점과 최대 저축 가능 금액, 정부 매칭 혜택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후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가능할까?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'가능합니다'.

다만, 두 계좌는 중복 가입이 불가능하므로, 청년도약계좌를 먼저 해지해야만 청년내일저축계좌에 새롭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.

주의사항

  • 해지 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당시 소득 및 재산 기준을 만족해야 함
  • 청년도약계좌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몰수(반환 불가)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모집 기간이 정해져 있음 (연 1~2회 공고)

📌 TIP: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모집 일정이 있을 때만 신청할 수 있으니,

현재 모집 중인지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지자체 복지부서에서 확인하세요.


💰 청년내일저축계좌, 최대 얼마까지 저축 가능할까?

항목
내용
개인 저축액
월 최대 10만원
정부 지원금(매칭)
월 최대 30만원
총 적립 가능액 (3년간)
최대 1,440만원 (개인 360 + 정부 1,080)

즉, 매달 10만원씩 3년 저축 시, 정부가 최대 30만원까지 매칭해줘서 총 40만원이 쌓이는 구조예요.

많이 넣는다고 혜택이 더 늘어나진 않아요.

💡 따라서 월 10만원까지만 저축해도 최대 정부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🔍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어떤 점이 다를까?

구분
청년도약계좌
청년내일저축계좌
대상
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기준중위소득 100~200% 이하
정부지원 방식
최대 월 40만원 매칭 (소득구간별 상이)
고정 월 30만원 매칭 (조건 충족 시)
가입조건
근로소득 필수
근로·사업소득 必 + 차상위 이하
중도해지 시
정부지원금 미지급 또는 회수
동일하게 회수 가능
저축금액
자유롭게 (월 최대 70만원까지 가능)
월 10만원 고정

📌 마무리 요약

  • 청년도약계좌 → 청년내일저축계좌 변경은 가능하지만 해지 필수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 조건이 더 엄격하므로 사전 확인 필요
  • 월 최대 10만원까지만 저축해도 정부 지원금은 풀로 받음
  • 많이 넣는다고 혜택이 더 커지지 않음! 월 10만원 정액 저축 기준으로 설계됨

📢 꼭 확인하세요!

현재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인지 확인 후 신청해야 함

소득·재산 조건 미달 시 정부 지원 제외 가능성 있음

✅ 계좌 개설 후 중도 해지 시 불이익 크므로 신중한 결정 필요!